1. 분산 데이터베이스의 개요 ▷ 분산 데이터베이스의 정의 (1) 여러 곳으로 분산되어 있는 데이터베이스를 하나의 가상 시스템으로 사용할 수 있도록 한 데이터베이스 (2) 논리적으로 동일한 시스템에 속하지만, 컴퓨터 네트워크를 통해 물리적으로 분산되어 있는 데이터들의 모임. 물리적 Site 분산, 논리적으로 사용자 통합 · 공유 분산 데이터베이스는, 데이터베이스를 연결하는 빠른 네트워크 환경을 이용하여 데이터베이스를 여러 지역 여러 노드로 위치시켜 사용성/성능 등을 극대화 시킨 데이터베이스이다. 2. 분산 데이터베이스의 투명성 ( Transparency ) 분산 데이터베이스가 되려면 6가지 투명성을 만족해야 한다. ① 분할 투명성 (단편화) ② 위치 투명성 ③ 지역사상 투명성 ④ 중복 투명성 ⑤ 장애 투..
1. 정규화를 통한 성능 향상 전략 ▷ 정규화 : 기본적으로 데이터에 대한 중복성을 제거해준다. 데이터가 관심사별로 처리되는 경우가 많기 때문에 성능이 향상되는 특징이 있다. 엔터티가 계속 발생되므로 SQL 문장에서 JOIN 이 많이 발생하여 이로 인한 성능 저하가 나타날 수도 있다. 데이터를 결정하는 결정자에 의해 함수적 종속을 가지고 있는 일반속성을 의존자로 하여 입력/수정/삭제 이상을 제거하는 것이다. Q . 정규화를 수행하면 항상 조회 성능이 저하되어 나타날까? ▷ 데이터 처리의 성능 : 데이터베이스에서 데이터를 처리할 때 (1)조회 성능과 (2)입력/수정/삭제 성능 이 있다. 데이터 모델을 구성하는 방식에 따라 두 성능이 Trade-OFF 되어 나타나는 경우가 많다. 중복 속성을 제거하고, 결정..
1. 성능 데이터 모델링의 정의 데이터의 용량이 커질수록, 의사결정의 속도가 빨라질수록 데이터를 처리하는 속도가 빠르게 처리되어야 한다. 개발된 애플리케이션의 성능이 저하되는 경우, 개발자의 잘못된 SQL 구문 작성도 있으나 근본적으로 디자인이 잘못되어 SQL 구문을 잘 못 작성하도록 구성될 수 밖에 없는 경우도 빈번하다. * 성능이 저하되는 데이터 모델의 3 가지 경우 (1) 데이터 모델 구조에 의해 성능 저하 (2) 데이터가 대용량이 되서 불가피한 성능 저하 (3) 인덱스 특성을 충분히 고려하지 않고 인덱스 생성으로 인한 성능 저하 ▷ 성능 : 데이터 조회의 성능을 의미. 데이터 입력/수정/삭제 는 일시적이고 빈번하지 않고 단건 처리가 많다. 데이터 조회는 반복적이고 빈번하며 여러 건을 처리한다. 트..
- Total
- Today
- Yesterday
- 네이버클라우드플랫폼
- 파이썬sum
- 알고리즘
- SQLD 1과목
- 파이썬 입출력
- Python
- 데이터 모델링
- 데이터베이스
- range함수
- SQLD 2과목
- python별찍기
- 40회 SQLD
- 백준별찍기
- 파이썬입출력
- SUM함수
- 파이썬for문
- python문법
- SQLD
- 파이썬문법
- Unity GameObject 생성
- 백준
- SQLD1과목
- 백준 별찍기
- SQLD40회
- f-string
- 백준파이썬
- 파이썬
- 별 찍기
- BAEKJOON
- NaverCloudPlatform
일 | 월 | 화 | 수 | 목 | 금 | 토 |
---|---|---|---|---|---|---|
1 | ||||||
2 | 3 | 4 | 5 | 6 | 7 | 8 |
9 | 10 | 11 | 12 | 13 | 14 | 15 |
16 | 17 | 18 | 19 | 20 | 21 | 22 |
23 | 24 | 25 | 26 | 27 | 28 |